자료 구조 - 큐의 구현 - 덱
1. 덱의 이해
1) 덱 (Deque)
- 큐의 양쪽 끝에서 삽입 연산과 삭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확장된 큐
- 큐 2개를 반대로 붙여서 만든 자료구조

2) 덱에 대한 추상 자료형
(1) createDeque();

(2) insertFront(DQ, ‘A’);

(3) insertFront(DQ, ‘B’);

(4) insertRear(DQ, ‘C’);

(5) deleteFront(DQ);

(6) deleteRear(DQ);

(7) insertRear(DQ, ‘D’);

(8) insertFront(DQ, ‘E’);

(9) insertFront(DQ, ‘F’);

2. 덱의 구현
- 양쪽 끝에서 삽입, 삭제 연산을 수행하면서 크기 변화와 저장된 원소 순서 변화가 많으므로 순차 자료구조는
비효율적
- 양방향으로 연산이 가능한 이중 연결 리스트를 이용함

3. 큐의 응용
1) 운영체제의 작업 큐
(1) 프린터 버퍼 큐
- CPU에서 프린터로 보낸 데이터 순서대로 (선입선출) 프린터에서 출력하기 위해서 선입선출 구조의 큐 사용
(2) 스케줄링 큐
- CPU 사용을 요청한 프로세서들의 순서를 스케줄링하기 위해서 큐를 사용

(3) 시뮬레이션 큐잉 시스템
- 시뮬레이션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서 대기행렬과 대기시간 등을 모델링 하기 위해서 큐잉 이론 사용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