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양한 연관관계 매핑 - 2 (JPA)
1. 일대일 ( 1 : 1 )
1) 일대일 관계
- 일대일 관계는 그 반대도 일대일
- 주 테이블이나 대상 테이블 중에 외래키 선택 가능
- 외래 키에 데이터베이스 유니크(UNI) 제약조건 추가
2) 일대일 : 주 테이블에 외래 키 단방향

3) 일대일 : 주 테이블에 외래 키 양방향

4) 주 테이블에 외래 키 단방향 정리
- 다대일(@ManyToOne) 단방향 매핑과 유사
5) 주 테이블에 외래 키 양방향 정리
- 다대일 양방향 매핑 처럼 외래 키가 있는 곳이 연관관계의 주인
- 반대편은 mappedBy 적용
6) 일대일 : 대상 테이블에 외래 키 단방향

- 단방향 관계는 JPA 지원 X
- 양방향 관계는 지원
7) 일대일 : 대상 테이블 외래 키 양방향

- 일대일 주 테이블에 외래키 양방향과 매핑 방법은 같음
2. 일대일 정리
1) 주 테이블에 외래 키
- 주객체가 대상 객체의 참조를 가지는 것 처럼 주 테이블에 외래 키를 두고 대상 테이블을 찾음
- 객체지향 개발자 선호
- JPA 매핑 편리
장점
- 주 테이블만 조회해도 대상 테이블에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 가능
단점
2) 대상 테이블에 외래 키
- 대상 테이블에 외래 키가 존재
-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선호
장점
- 주 테이블과 대상 테이블을 일대일에서 일대다 관계로 변경할 때 테이블 구조 유지
단점
- 프록시 기능의 한계로 지연 로딩으로 설정해도 항상 즉시 로딩됨
3. 다대다 ( N : M ) - 안씀
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정규화된 테이블 2개로 다대다 관계를 표현할 수 없음
- 연결 테이블을 추가해서 일대다, 다대일 관계로 풀어내야함.

- 객체는 컬렉션을 사용해서 객체 2개로 다대다 관계 가능

1) 다대다 매핑의 한계
- 편리해 보이지만 실무에서 사용X
- 연결 테이블이 단순히 연결만 하고 끝나지 않음
- 주문시간, 수량 같은 데이터가 들어올 수 있음.
출처 :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(김영한) 인프런
댓글남기기